본문 바로가기
[TIP] Stable Diffusion/ComfyUI

ComfyUI에서 고용량 Flux 모델 안정적으로 실행하기 – GPU 클럭 제한으로 멈춤 현상 해결!

by doobam 2025. 2. 11.
반응형

4090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면서 배치 작업으로 이미지 생성이나 고해상도 업스케일링을 수행할 때, ComfyUI가 멈추는 현상을 경험했습니다. 과거 고사양 게임에서 그래픽 카드의 클럭 속도를 제한하여 안정적으로 실행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ComfyUI에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해 보았고, 성공적으로 고해상도 업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방법을 자세히 공유하고자 합니다.

ComfyUI : 그래픽카드 부하가 많이 걸리는 고해상도 업스케일 작업

 


GPU 클럭 속도 제한을 통한 안정성 향상

고용량 모델을 실행할 때 GPU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 성능 저하나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GPU 클럭 속도를 제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GPU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과부하로 인한 멈춤 현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NVIDIA GPU에서 클럭 속도 제한 방법

  1. 현재 GPU 상태 확인 터미널 또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GPU의 상태를 확인합니다.여기서 GPU 클럭 속도, 메모리 사용량, 온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nvidia-smi
  3. 클럭 속도 제한 적용 클럭 속도를 제한하면 GPU의 과부하를 줄여 더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클럭 속도를 조정합니다.이 명령어는 GPU의 과도한 부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4. nvidia-smi -lgc 1500,2000 # 최소 1500MHz, 최대 2000MHz로 설정
  5. 설정 유지 및 자동 적용 위 명령어는 일시적으로 적용되며,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기본 설정으로 돌아갑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을 자동 적용할 수 있습니다.
    • nvidia-settings 또는 rc.local 파일을 수정하여 부팅 시 자동 적용되도록 설정합니다.
    •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시스템 부팅 시 실행되도록 구성합니다.
    예를 들어, startup_clocks.sh 스크립트를 만들고 ~/.bashrc 파일에 추가하면 자동 실행할 수 있습니다.
  6. echo 'nvidia-smi -lgc 1500,2000' >> ~/.bashrc
  7. 테스트 및 최적값 조정 클럭 속도를 제한한 후, ComfyUI에서 이미지 생성이나 업스케일링을 실행하여 안정성을 확인하세요. 필요하면 1500,2000 대신 1600,1900 등의 값을 시도하여 최적의 설정을 찾아보세요.

nvidia-limit.bat : 저는 배치파일로 만들어서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결론

ComfyUI에서 고용량 Flux 모델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멈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GPU 클럭 속도를 제한하여 안정성을 높인다.
  2. 자동 적용 설정을 통해 지속적인 안정성을 유지한다.
  3.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클럭 속도를 조정한다.

이 방법을 적용하면 ComfyUI에서 Flux 같은 고용량 모델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특히 장시간 배치 작업을 수행할 때 안정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구축하여 더욱 효율적인 AI 이미지 생성 작업을 진행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