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지브리 화풍 AI, 저작권 침해일까? AI 이미지 생성과 저작권 문제 총정리

by doobam 2025. 4. 2.
반응형

요즘 SNS나 이미지 공유 플랫폼을 보다 보면 ‘지브리 풍’으로 변환된 사진이나 일러스트가 심심찮게 보입니다. 마치 <이웃집 토토로>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속 장면처럼 표현된 풍경과 인물들—AI 기술의 발전 덕분에 누구나 쉽게 이런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죠.

하지만 이런 지브리 화풍 AI 콘텐츠가 저작권 침해냐 아니냐를 두고 적잖은 논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단순한 팬심일 뿐일까요, 아니면 정말 법적인 문제가 있는 걸까요?

지브리 스타일 마을 풍경 (Grok3)


지브리 그림을 직접 학습한 AI일까?

논란의 핵심은 이겁니다.
AI가 지브리 애니메이션의 실제 장면이나 일러스트를 무단으로 수집해 학습했다면, 이는 명백한 저작권 침해입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AI 서비스들이 훈련 데이터셋에 대한 출처를 명확히 밝히지 않는다는 점이에요. 일부 AI 플랫폼에서는 “공개 이미지에서 학습했다”고만 설명하고, 지브리 이미지를 특정해서 사용했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엔 ‘직접적인 침해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법적으로 다투기 어려운 상황이 되죠. 하지만 지브리처럼 특정하고 고유한 스타일은 단지 "비슷하게 그렸다"고 보기엔 너무 분명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논쟁이 계속됩니다.

센과 치히로에서 영감을 받은 AI 이미지 (Grok3)


스타일 모방은 합법인가?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부분이 바로 이겁니다.
“스타일을 따라 그린 건데 뭐가 문제야?”라는 말이 있죠.
실제로 법적으로 '스타일 자체'는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닙니다.
즉, 반 고흐 화풍이나 피카소 스타일을 흉내 내는 것 자체는 불법이 아닐 수 있어요.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 건 지브리 스타일이 단순한 화풍을 넘어서 '브랜드'처럼 작동한다는 점입니다.
지브리풍 이미지를 보면 누구나 “아, 이거 지브리 느낌이네”라고 말하죠. 그만큼 인식 가능성이 높고, 상업적 이미지로서의 가치도 큽니다.

따라서 이걸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보다는 ‘부정경쟁방지법’이나 ‘퍼블리시티권’에 해당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예를 들어 지브리풍 AI 일러스트를 굿즈로 판매하거나, 광고에 사용하는 경우엔 법적으로 제재받을 수 있어요.

지브리풍 AI 캐릭터 일러스트 예시 (Grok3 생성)


실제 논란 사례

2023년 하반기, 중국에서 시작된 ‘지브리 스타일 AI 생성기’가 인기를 끌자, 일본 커뮤니티에서는 강한 반발이 있었습니다.
“지브리를 도둑질하는 AI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철학을 모독하는 일이다” 같은 비판들이 줄을 이었죠.

게다가 미야자키 감독은 인터뷰에서 AI 예술에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밝힌 적도 있어서, 지브리 팬들 사이에선 AI 생성 이미지에 대한 반감이 더 커졌습니다.

반면 일부 사용자들은 “지브리를 좋아해서 헌정하는 의미로 만든 것”이라며 창작의 자유를 주장합니다.
“내가 직접 그려도 되는데, AI를 도구로 썼을 뿐이다”라는 입장이죠. 이처럼 기술과 표현 사이의 경계가 흐릿해지면서 사회적으로도 복잡한 쟁점이 되고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SNS 공유용으로 사용한 지브리 스타일 프로필 이미지 (chatGPT)

 

결국 중요한 건 AI 기술이 지브리 스타일을 '어떻게' 학습했는지, 그리고 그 결과물이 '어디에' 사용되느냐입니다.

  • 개인적 감상이나 SNS 공유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현재로선 큰 제재는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하지만 이걸 상업적으로 활용하거나, 지브리 브랜드를 연상시키는 방식으로 공개하면 법적인 위험이 따를 수 있다는 점은 꼭 인지해야 합니다.

기술은 점점 더 정교해지지만, 우리가 따라야 할 윤리와 책임도 함께 진화해야겠죠.

 

이전 글 : 2025.04.02 - [AI] - 챗GPT로 지브리풍 셀카 이미지 만들기: AI로 그리는 감성 프로필 대유행

반응형

댓글